본문 바로가기

전시준비

전시장 대관료, 보통 어느 정도일까? 전시 준비 전에 꼭 알아야 할 정보 전시를 준비하다 보면 가장 먼저 궁금해지는 게 바로 전시장 대관료다.작품은 잘 준비했는데, 막상 전시 공간을 알아보려고 하면 도대체 어느 정도 비용을 예상해야 하는지 막막할 때가 많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갤러리 대관료는 전시 공간의 규모, 위치, 운영 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소규모 갤러리 대관료 소규모 전시 공간이나 개인 갤러리의 경우, 하루 10만~30만 원, 일주일 단위 대관은 보통 70만~150만 원 사이가 일반적이다. 특히 홍대, 연남동, 성수동 등 서울의 인기 지역은 평균가가 더 높은 편이다. 여기에 조명, 음향, 설치 보조, 오프닝 공간 제공 등의 옵션이 포함되면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다. 📌중·대형 갤러리 대관료 중형 갤러리나 상업 화랑, 아트센터급 공간은 일주일 기준 200.. 더보기
작품 에디션과 작품가 정하는 법, 작가를 위한 실전 가이드 작품을 팔거나 공모전에 출품할 때, 늘 고민되는 게 있다.바로 ‘에디션을 몇으로 해야 하지?’, ‘작품가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하는 문제다. 📌 에디션이란? 에디션(Edition)은 같은 이미지의 작품을 몇 점까지 제작·팔지를 한정하는 숫자다. 작가 본인이 정할 수 있으며, 판화나 사진, 디지털 작업 등 동일 작업을 계속해서 뽑아낼 수 있는 작품에 에디션 넘버가 붙는다.표기는 1/5, 1/10 방식으로 한다.예를 들어, 10/30이라고 적혀 있다면, 전체 30개 중 10번째 작품이라는 의미이며, 작품의 희소성과 가치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만, 위에 언급한 장르의 작업이라고 해서 반드시 에디션 넘버를 다수로 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작가의 판단에 따라 단 한 점만 파는 것도 가능하.. 더보기
갤러리 섭외,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처음 전시 준비하는 작가를 위한 팁 처음 전시를 준비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은 바로 전시 공간을 어디서 어떻게 섭외할 것인가다. 꾸준히 작업을 하는 것과 내 작업이 걸릴 실제 공간을 찾는 일은 또 다른 문제다. 특히 첫 개인전이거나 아직 전시 이력이 많지 않은 신진 작가라면, 어떤 갤러리에 연락해야 할지, 자신의 작업과 잘 맞는 분위기의 공간을 어떻게 찾아야 할지와 같은 막연한 질문들로 출발하게 된다.  게다가 전시 예산도 현실적인 고민이다. 좋은 갤러리를 섭외하고 싶지만, 대관료가 생각보다 높게 형성된 곳도 많고 대관 방식이나 제공 서비스도 제각각이라 기준을 잡기 어렵다. 그래서 오늘은 작업 스타일에 어울리는 갤러리를 어떻게 찾으면 좋을지, 그리고 처음 전시를 준비했을 때 내가 고려했던 부분들을 바탕으로 정리해보려 한다.   1... 더보기
전시 기획서, 어떻게 써야 할까?|전시 준비의 첫걸음 전시를 준비하면서 처음 마주하게 되는 관문 중 하나가 전시 기획서 작성이다. 전시 기획서는 전시를 여는 갤러리에서 작성하는 것이 아닌가 싶을 때도 있지만, 막상 전시를 알아보다 보면 전시장 대관, 공모 지원, 협업 요청 시에 작가에게 전시 기획서를 요구하는 곳들도 꽤 있다. 전시 기획서라는 건 이제 막 전시를 시작하는 신진 예술가에겐 다소 생소한 문서여서 막상 쓰려고 하면 '어떤 형식으로 써야 하지?', '무엇을 꼭 포함해야 하지?' 하는 고민이 생기곤 한다.이번 글에서는 전시 기획서란 무엇인지,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하는지, 형식은 어떻게 구성하면 좋은지를 예시와 함께 정리해보려 한다.  전시 기획서란? 전시 기획서는 전시의 콘셉트와 구성, 실행 계획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다. 쉽게 말해, '이 전시는.. 더보기
전시 유형 비교|개인전과 단체전의 차이와 선택 기준 전시를 하기로 결정한 뒤에 정해야 할 첫 번째는 '개인전이냐, 단체전이냐'이다.욕심을 낸다면 개인전이 좋겠지만, 막상 혼자 전시를 한다고 생각하면 작품수도 걱정이 되고, 또 단체전 경험 없이 개인전을 할 수 있는지 궁금증이 생길 수 있다. 경험을 쌓기 위해 단체전을 먼저 선택한다면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에서 준비하는 것이 조금은 덜 부담스러울 수 있겠지만 많은 작품 중에 자신의 작품이 돋보일지도 알 수 없고, 갤러리에서 자신의 작품이 놓일 위치 선정부터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의 조화도 신경 써야 하기 때문에 개인전과는 다르게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생길 수도 있다.이처럼 각각의 유형은 작업을 선보이는 방식에 따라 준비 과정과 전달 효과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두 유형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면 선택하는 데에 .. 더보기
사진 전시 준비 체크리스트 - 작품 선정부터 출력, 액자까지 📸 전시 준비 체크리스트– 작품 선정부터 출력, 액자까지 사진을 촬영하는 것만큼 어려웠던 게 전시 준비를 하는 거였다. 작품 선정부터 액자로 제작하기까지 꽤 많은 부분을 생각하고 결정해야 하는데 예상보다 어려운 부분들이 많았다.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전시를 준비하면서 실제로 정리해 둔 체크리스트 중, 가장 첫 단계인 작품 선정부터 출력, 액자 준비까지의 내용을 공유해보려 한다.  1. 작품 선정 및 편집 📌 전시에서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어떤 사진을 보여줄 것인가’이다.내가 가진 최상의 작품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기도 하지만 개별의 작품이 좋은 게 중요한 만큼, 전시 전체 흐름에 어울리는 사진인지도 봐야 한다. 작품 개수가 정해져 있거나 단체전에 거는 소량의 작품이면 크게 고민할 필요는 없겠지만 개.. 더보기
전시 준비 어떻게 시작할까? 공모전·아트페어·갤러리 작가 모집 사이트 정리 작가가 되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나는 주변에 작가, 아니 예체능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더 막막했던 것 같다.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고, 어디에 지원해야 하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물어볼 사람이 없었다. 지금은 SNS 덕분에 내가 찍은 사진들이 컴퓨터 안에만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은 다행이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이제는 전시를 해야 하지 않을까?’, ‘이 작업을 세상에 꺼내 보여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때부터는 정말 맨땅에 헤딩하는 기분이었다. 처음 전시를 준비할 때 가장 막막했던 건, 정보를 어디서 찾아야 할지 몰랐다는 점이었다. 작업은 계속하고 있었지만, 그걸 어떻게 ‘전시’라는 형태로 세상에 내보낼 수 있을지는 또 다른 이야기였으니까. 누구나 작품을 꾸준히.. 더보기
작가노트 작성법 – 작품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 1. 작가노트란? 작가노트는 작품 설명서 같은 역할을 한다. 공모전이라면 주최 측에, 전시가 확정되었다면 잠재적(마케팅을 위한 노출을 통해) 혹은 실제 관람객에 공개되는(선택에 따라) 글이어서 작품의 배경, 의미, 제작 의도 등 관련 내용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다면 어떤 내용을 적어야 할지, 얼마나 길게 적어야 할지 등이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일단 분량으로 따지면, 반드시 길어야 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간결하면서도 명확한 문장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글이 너무 길면 읽는 사람이 중간에 이탈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사람마다 혹은 취향마다 다르겠지만, 특히, 요즘처럼 짧고 명확한 콘텐츠가 선호되는 시대에는 짧지만 강한 인상을 주는 .. 더보기